평균환율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는 이유
해외주식에 투자하고자 하면 환율에 신경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내 주식이 올랐더라도, 환율이 매수시점의 환율보다 하락한 경우, 이 때 환전을 하게 되면 환손실을 입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미리 현금을 확보해 두었다가, 환율에 대한 자신만의 판단기준을 세우고, 향후 환율이 자신이 정했던 기준보다 낮아졌을 때 환전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 기준을 세울 때 '평균환율"을 근거로 한다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기간 동안의 평균환율에 대해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평균 환율 알아보기 : 한국은행 경제통계 시스템을 통해
1. 한국은행 경제통계 시스템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아래의 url을 누르면 사이트로 바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https://ecos.bok.or.kr/#/
ecos.bok.or.kr
2. 홈화면에서 "환율/통관수출입 외환보유액"을 클릭합니다.
3. 환율 자료 추출하기
아래의 화면에서 순서대로 " 환율 > 평균환율/기말환율 > 주요국 통화의 대원화 환율" 선택 후,
다음 칸에서 "원/미국달러(매매기준율)과 그 밑의 "평균자료", "일일자료"에 체크를 하여 선택한 다음에 목록에 추가합니다.
그리고 맨 마지막 칸에서 "선택한 목록 조회"버튼을 눌러줍니다.
4. 기간 조회
월, 분기, 반기, 연간 중에 한 가지 방법을 선택한 후 조회를 해줍니다.
저는 가로보기보다 세로보기가 더 편해서 세로보기를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기간은 1964년 자료부터 확인 가능하지만 저는 2011년도부터 연단위로 검색해 보았습니다.
5. 결과 확인
화면에는 잘렸지만 2011년 부터도 계속 환율이 1100원대 안팎으로 왔다 갔다 했는데, 2022년부터 1200원대, 2023년은 1300원대로 상승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