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TF

ETF 거래시 내야하는 세금은? (거래세, 양도세, 배당소득세, 금융소득 종합과세) 주식투자를 하다 보면 거래세,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등이 발생하므로 너무 빈번히 사고 팔면 손해를 보게 됩니다.  ETF의 경우는 어떤 세금이 있는지, 투자할 때 고려해야할 비용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ETF투자시 고려해야 하는 세금은 거래세,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금융소득 종합과세의 4가지가 있습니다. (아래에 링크된 한국거래소 홈페이지를 통해 참조할 수도 있습니다.)  한국거래소 홈페이지:  ETF 세금제도 Regulation | 매매거래제도 | 증권상품 | ETF | 세금제도그간 ETF는 매매차익에 대한 과세는 부과되지 않고 분배금에 대해서 15.4%(배당소득세 14%+주민세 1.4%)만 지급하면 되었다. 그러나 2010년 7월 세제개편으로 국내 주가지수를 1:1로 그대로 추적하.. 더보기
ETF 수익률 순위를 알려면 ? (한국거래소의 ETF Monthly 보고서 활용하기) 한국거래소에서는 매월 라는, ETF와 관련된 리포트를 발행합니다.리포트의 분량은 26~27p. 정도 되며, 그 중의 절반은 ETN에 대한 내용을 포함되어 있지만 개인적으로 ETN은 위험한 투자라 생각하므로, 별로 유의해서 보고 있지는 않고, ETF에 관한 통계만 보고 있습니다.  참고로, 아래의 파일은 2024년 5월 ETF Monthly 보고서입니다.다운받아 보시면 어떤 식으로 되어있는 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리포트는 매달 10일 전후로 한국거래소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고, 혹은 정기적으로 메일로 보내달라고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신청 방법은 글의 맨 아랫부분에 설명해 두었습니다.)  이 보고서를 통해 알 수 있는 내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시장동향부문 1. 상장현황과 상.. 더보기
ETF 투자시 확인해야 할 5가지 : NAV, 괴리율, 추적오차율, 호가스프레드비율 ETF에 투자하기 전에 확인해 볼 것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투자대상 해당 ETF에서 어떤 주식에 투자하며, 투자를 구성하는 비중이 몇 % 인지 확인해 봅니다. HTS, MST, 포털사이트 증권창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2. NAV (Net Asset Value : 순자산가치) 주식시장에서 '현재가'(value)란, 주식시장에서 실제로 거래되는 가격을 말합니다.NAV(Net Asset Value)란, 희망소비자가격인 "정가"와 마찬가지로, 순자산가치를 의미합니다. 즉, ETF의 자산에서 부채와 기타 비용을 뺀 나머지 가치를 말합니다.     현재가가 NAV보다 높다면 순자산가치보다 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있다, 즉 가격이 비싸다는 의미가 됩니다. 이럴 경우 고평가 되어 있는 상.. 더보기
환헤지 뜻 & ETF 투자시 환헷지상품이 유리할까? ETF 중에서 이름 끝에 (H)라는 글자가 붙어 있는 상품은 헷지(Hedge) 상품에 해당됩니다. 헤지(Hedge) 상품이란? 환헷지는, 환율이 변동할 위험에 대비하여, 특정 가격에 환거래를 하겠다고 미리 계약을 체결해 두는 것을 말합니다.  1. 헤지 상품이 필요한 이유 예를 들어 생각해 보겠습니다 . 1000만원을 투자했는데, 투자 당시 환율이 1000원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그런데 미국주식시장이 올라서 1000만원이 1200만원으로 되었습니다. 이 경우 주식에서는 20%의  수익이 났습니다.그러나 원달러 환율이 800원이 되었다면 어떻게 될까요?1200만원어치의 달러 금액을 원화로 환전하면 960만원이 됩니다. 따라서 오히려 전체적으로는 4%의 손실을 보게 되는 것이 됩니다.  이렇게, 환율의 변.. 더보기
ETF 수수료, 연보수, 각종 비용 (세금 제외하고 나가는 돈) ETF에서 발생하는 비용들에는 크게 아래의 3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이 비용들은 ETF의 가격에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장기간 ETF에 투자한다면 이 비용에 따라 수익률이 차이가 날 수 있으니 알아두면 좋을 것입니다. 각각의 항목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ETF의 연보수2. 운용비용 (결제수수료, 평가보수, 예탁수수료)3. 중개수수료 1. ETF의 연보수   ETF에는 매년 발생하는 보수가 있는데, 자산운용사에서 ETF를 나를 대신해서 운용을 해주는 대가로 수수료를 받는 개념입니다. 연보수는 자산운용사가 매년 가져가는 일종의 보수입니다. (한국 ETF는 미국 ETF보다 연 보수가 저렴합니다.)이런 비용은 ETF 마다 다른데, 0.4% 차이가 난다 하더라도 연금으로 운용할 때 2~30년..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