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미국주식] 배당주와 관련된 세금 (cf. 배당 달력 예시) 배당금도 엄연히 소득이기 때문에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다만 한국 배당주와는 약간 다른 점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주식의 배당금과 관련된 세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배당 소득세 : 15% 배당금은 배당소득으로 분류되어 세금을 내야 합니다. 미국 기업으로부터 받는 배당금에는 15%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한국 기업이 주는 원화 배당금의 경우 15.4%의 세율이 적용되니 달러로 받는 배당금의 세율보다 약간 높은 것입니다.) 2. 배당 소득세는 원천징수 배당소득세는 배당금을 받은 개인이 추후에 납부하는 것이 아니라, 증권사에서 미리 배당소득세를 차감한 뒤 고객한테 나머지 금액을 입금해 줍니다. (이 점은 한국의 배당주와 동일합니다.) 예를 들어 $100의 배당금을 받게 되었다면 이.. 더보기
미국과 한국 우선주의 공통점과 차이점 우선주란? (한국과의 공통점) 우선주(Preffered Stock)란, 의결권은 없지만 배당금을 받을 때 보통주보다 먼저 지급을 받는 주식을 말합니다. 보유한 주식의 수만큼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보통주와 대비되는 주식입니다. 기업에서 우선주를 발행하는 이유는, 새로운 투자나 인수합병등을 위해 자금이 필요할 때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입니다. 미국 주식 우선주의 특징 (한국과의 차이점) 5가지 1. 배당금 발생조건은 기업마다 다르지만, 대체로 고정배당 우선주가 발행이 됩니다. 매년 동일한 고정배당금을 지급합니다.(고정배당 우선주란, 지급되는 배당금이 고정된 우선주를 말합니다.)반면, 한국은 배당금이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보통주와 동일하거나 약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2. 액면가 주당발행가의 액.. 더보기
[미국 주식] 2025년 배당 우량주 리스트 (배당왕, 배당귀족 등) 미국 주식에서 우량하고 좋은 배당주들만 알고 싶다면, 배당 우량주들만 모아 놓은 리스트를 살펴보면 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배당우량주들을 등급별로 알아보고, 2025년에 각 등급에 속하는 기업들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배당 우량주의 등급별 명칭 : 배당왕, 배당귀족/배당챔피언, 배당성취자 미국에서는 50년 이상 연속적으로 배당금을 늘리며 지급해 온 기업을 일컬어 '배당왕'(Dividend King)이라고 합니다. 25년 이상 연속적으로 배당금을 늘려온 기업은 '배당 귀족'(Dividend Aristocrats)이라 하며10년 이상 연속적으로 배당금을 늘려온 기업은 '배당 성취자'(Dividend Achievers)라고 합니다. 참고로, 배당왕과 배당성퓌자에는 S&P에 속한 기업이라.. 더보기
[미국주식 투자] 좋은 배당금 고르는 방법 3. 배당 지금 이력 (feat. 배당금 지금 이력을 확인하는 방법) 배당주에 투자하여 은행이자처럼 따박따박 수익을 얻고 싶다면, 꾸준히 안정적으로 배당금을 지급한 이력이 있는지도 살펴보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1. 배당금 지급 이력이란? Payment History(과거 배당 이력) 은, 기업의 경영 능력 및, 안정적인 배당금 지급 능력을 판단하는 중요한 척도가 됩니다. 코로나 팬데믹, 글로벌 금융 위기 등의 이슈로 기업은 이익에 안 좋은 영향을 받기도 하는데, 이러한 위기의 순간에도 안정적으로 배당금을 지급하는 회사라면 경영 능력이 탁월한 회사로 간주될 수 있을 것입니다. 과거에 배당금을 삭감했거나 중단했던 이력이 있는 기업이라면, 미래에 위급한 상황에 부딪혔을 때도 비슷한 행동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2. 배당금 지급 이력을 확인하는 방법 (1) 과거 배.. 더보기
[미국 주식] 좋은 배당주 고르는 방법 2. 배당성향 지난 포스팅에서는, 좋은 배당주를 고르는데 체크하는 것으로서, 배당수익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배당성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배당성향이란? 배당성향 (Payout Ratio)란, 기업이 일정기간 영업 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순이익의 얼마를 배당금으로 주주들에게 나눠주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배당성향 = ( 지급 배당금의 총액 / 당기순이익 ) × 100 예를 들어 1년 동안 $100억 을 벌어들인 기업이 배당금으로 총 $20억을 지불했다면 이 기업의 배당성향은 20/100의 비율은, 20%가 되는 것입니다. 참고로, 배당수익률은, 주가 대비 배당금에 대한 개념인 것에 비해 ( 배당수익률 = 1주당 배당금 / 주가)배당성향은, 순이익에 비해 얼마나 배당을 하는지에 .. 더보기
[미국 주식] 좋은 배당주를 고르는 방법 1. 주당 배당금과 배당 수익률 배당금을 꾸준히 지급하고, 이익이 늘어나면 배당금을 늘려주는 주식을 좋은 배당주로 간주합니다. 이런, "좋은 배당주"를 고르는데 체크해야 할 항목들 가운데는, 1. 주당배당금, 2. 배당수익률, 3. 배당성향 4. 배당금 지급 이력, 5. 배당성장 이력 등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당배당금과 배당수익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주당 배당금 (DPS : Dividend per Share) 이란? 주당배당금이란, 주식 1주당 받을 수 있는 배당금을 말합니다. 배당금은 대체로 1년단위로 지급되기는 하지만, 배당금을 분할하여 지급할 경우. 반기, 분기, 월 등 기업이 정한 주기에 따라 지급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한국은 1년에 한 번씩 지급하는 회사들이 대부분이나 미국 주식의 경우 반기, 분기.. 더보기
[미국ETF] 유리한 ETF를 고르는 기준 4가지(ETF.com에서 찾아보는 방법) 미국 ETF 중에서는 같은 지수를 추종하지만 다른 운용사에서 운용하는 상품들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S&P500 인덱스를 추종하는 지수는 SPY, IVV, VOO, SPLG의 4가지가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4개의 움직임이 비슷하겠지만 이왕이면 좀 더 투자에 유리한 ETF를 고르고 싶을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TF를 선택하는데 알아봐야 하는 기준 4가지 및, ETF.com 에서 운용보수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운용보수 (Expense Ratio) 운용보수는 낮을 수록 투자자에게 유리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SPY의 경우 연간 운용보수는 0.09%입니다. 그리고 VOO의 경우 0.03% 입니다.  SPY가 VOO보다 자산 규모는 크지만 지난 몇 년간 VOO로 인입되는 자금들.. 더보기
[미국 ETF] 미국 ETF가 추종하는 여러가지 지수들 : 상품, 인버스, 레버리지, 산업, 주가지수 등 벤치마크 지수란?   ETF 에는 특정한 기준을 두고 주식들을 포함시킵니다. 이때의 기준을 '벤치마크 지수'라고 합니다.  영어 단어 "벤치마크(Benchmark)"란,  '비교 평가 대상'이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투자에서 벤치마크란 성과를 평가할 때 기준이 되는 지표를 말합니다. 만약 수익률이 벤치마크한 지표보다 높으면 초과수익률을 달성했다고 합니다.   (예) 나스닥에 상장된 기업들 중 시가총액 상위 100개에 해당하는 기업들의 주식을 시가총액 비중에 따라 편입한 벤치마크 지수가 있는데, '나스닥 100 인덱스'라고 합니다.         ETF 가 추종하는 벤치마크의 다양한 유형들  1. 주가지수 한 국가의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유형의 ETF입니다.(예) S&P 500, 코스피 500지수 2.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