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매수 타이밍 정하는 원칙 : 52주(1년) 주가 범위 대비 현재 주가를 기준으로

반응형

 

지난 포스팅에서는, 주식의 가격이 얼마든지 상관없이, 정해진 날 정해진 금액만큼 기계적으로 매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러나 가격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것이 싫을 경우에는, 매수할 가격 범위를 정한 후 그 가격 범위 안으로 가격이 들어올 때 사는 방법이 있습니다. 

 

매수 가능한 나만의 가격 범위는 마음대로 정할 수 있기는 하지만, 아래의 세 가지 기준이 많이 활용되는 방법입니다.

 

1. 52주 주가 범위 대비 현재 주가

2. PER 밴드

3. 시가 배당률 

 

이번 포스팅에서는, 1번 방법 - 52주 주가 범위를 기준으로 매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52주 주가범위와 현재 주가를 비교하여 매수 원칙을 세우기

 

52주는 1년입니다.

1년간의 최고가격과 최저가격, 그리고 현재 가격을 비교하여 매수기준을 잡는 방법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52주(1년간)의 최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할 경우, 그 이하부터 매수가능.
  • 52주(1년간)의 최저점 대비 20% 이상 상승했을 경우 고평가 된 구간이므로 매수를 한 후 유보하기.

 

위와 같은 나만의 매수 원칙을 세워두는 것입니다. 

본인만의 매수 가능 구간조건을 미리 정해놓을 수 있습니다. 

 

 

 
 
 

52주간의 최고점과 최저점을 확인하는 방법

 

 

미국주식의 경우, 야후파이낸스에서 특정 종목의 티커로 검색하여 나오는 정보에서 52주간의 최고점과 최저점을 볼 수 있습니다. 

 

야후파이낸스 바로가기

 

Yahoo Finance - Stock Market Live, Quotes, Business & Finance News

At Yahoo Finance, you get free stock quotes, up-to-date news, portfolio management resources, international market data, social interaction and mortgage rates that help you manage your financial life.

finance.yahoo.com

 

 

아래의 표는 AMD 의 주가에 대한 summary입니다. 

 

52주 최저점과 최고점

 

 

오늘 기준으로 지난 1년간 AMD의 주가는 52 week range 항목을 보면 76.48에서 187.28까지로 변동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보통 기업들은 1년 내내 상승만 하거나 하락만 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1년을 기준으로 지나치게 많이 오른 상태면 조금 조정받을 것을 예상하게 되고, 과도하게 하락한 경우에는 반등할 것이라고 기대하기 마련이므로 이런 방법이 사용됩니다.  

 

다만, 본인만의 범위는 한 번에 정해지는 것이 아닙니다. 

최고점, 최저점 대비 20%, 10%, 15% 등, 다양한 구간에서, 약간의 금액으로 여러 번 주식을 사고 팔다보면, 나만의 매수 가능 시점이 언제가 좋은지 알게 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