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격도 의미, 계산식, 차트에서 보기, 투자에 활용하기
이격도란? 이동평균선과 비교했을 때, 주가가 어느 정도의 수준에 위치해 있는지를 알아보는 보조지표 가운데 하나입니다.이 포스팅에서는 이격도의 의미, 계산식, 차트에서 보는 방법, 주식 투자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이격도의 의미 離隔(이격)이란 한자로 '벌어질 리', '틈 격' 자를 쓰고 있습니다. 무엇과 떨어진 정도를 나타내냐 하면, 기준으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이동평균선입니다. 주로 이동평균선과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지를 보며, 이동평균선 중에서도 20일선과 60일 선을 가장 많이 활용합니다. 이동평균선과의 떨어진 정도를 보는 이유는, 주가가 이동평균선에서 떨어져 있을 때는 이동평균선으로 근접하려는 속성이 있고, 주가가 이동평균선과 거의 일치할 경우에는 다시 이동평균선..
더보기
이동평균선의 배열을 보고 투자에 활용하기 :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정배열, 역배열
이동평균선을 이용해 투자 판단을 하는 것을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그랜빌(Granville)입니다. 따라서 이동평균선 투자방법을 그랜빌 투자전략이라고 합니다. 이동평균선에는 주가 이동평균선과 거래량이동평균선이 있으며, 날짜별 구분으로는 5일 이동평균선, 10일, 20일, 60일, 120일 이동평균선 등이 있다는 것을 지난 포스팅에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동평균선의 배열을 보고 투자에 활용하는 방법 및 지지선과 저항선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장, 단기 이동평균선을 투자 판단에 활용하기 1. 정배열 상태 단기(녹색 5일선), 중기(빨간색 20일선) , 장기 (주황색 60일선, 보라색 120일선) 이동평균선 순서로 나란히 상승 중일 때 전형적인 정배열 상태입니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