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이격도 의미, 계산식, 차트에서 보기, 투자에 활용하기

반응형

 

 

이격도란?

 

이동평균선과 비교했을 때, 주가가 어느 정도의 수준에 위치해 있는지를 알아보는 보조지표 가운데 하나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이격도의 의미, 계산식, 차트에서 보는 방법, 주식 투자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이격도의 의미

 

離隔(이격)이란 한자로 '벌어질 리', '틈 격' 자를 쓰고 있습니다. 무엇과 떨어진 정도를 나타내냐 하면, 기준으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이동평균선입니다. 주로 이동평균선과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지를 보며, 이동평균선 중에서도 20일선과 60일 선을 가장 많이 활용합니다. 

 

 

이동평균선과의 떨어진 정도를 보는 이유는, 주가가 이동평균선에서 떨어져 있을 때는 이동평균선으로 근접하려는 속성이 있고, 주가가 이동평균선과 거의 일치할 경우에는 다시 이동평균선에서 멀어지려는 속성이 있다고 가정하기 때문입니다. 

 

 

 

 

2. 이격률을 계산하는 공식

 

이격률 = ( 주가 / n일 이동평균지수 ) × 100

 

(예)  20일 이격률 = ( 주가 / 20일 이동평균지수 ) × 100

현재주가가 120, 20일 이동평균지수가 100이면 ( 120 / 100 ) × 100 = 120%

 

이 주식은 이동평균선에 비해 20%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 차트에서 이격률과 이격도 그래프를 찾아보는 방법

 

이격도의 경우 MACD스토캐스틱처럼, 다음이나 네이버 증권창에서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MTS나 HTS에서는 확인 가능합니다. 

 

이격도 표시하기 (신한투자증권 MTS)
이격도 표시하기 (신한투자증권 MTS)

 

 

 

차트를 선택 후 상단의 톱니 모양을 누르면 오른쪽으로 각종 보조지표 목록이 보입니다. 

그중에서 이격도를 선택하면 세부 설정도 할 수 있습니다. 

 

이격도를 선택하면, 차트 밑에 새로운 그래프가 생깁니다. 

 

이격도그래프(신한투자증권 MTS)
이격도그래프(신한투자증권 MTS)

 

 

이격도 옆의 괄호 안에 있는 숫자는, 며칠 이동평균선과 비교했을 때의 값인지를 나타냅니다. 이격 1(5)은 5일 이동평균과 비교했을 때의 그래프를 그린 것입니다. 

 

 

4. 전문가가 추천하는 매수, 매도 타이밍

 

 

 

(1) 상승국면인 경우

 

20일 이동평균선 기준이격률이 98%이하면 매수

20일 이동평균선 기준 이격률이 106% 이상이면  매도

 

(2) 하강국면의 경우

20일 이동평균선 기준이격률이 92% 이하면 매수

20일 이동평균선 기준 이격률이 104% 이상이면  매도

 

 

그러나 위의 퍼센티지를 정확하게 적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격률을 한 가지 기준값으로만 천편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상황이나 투자종목 등에 따라 다소 융통성있게 적용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 이 블로그의 내용은 개인적인 의견일 뿐이므로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판단과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