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투자심리선 의미, 활용방법, 계산식

반응형

 

 

차트 보조지표가운데 하나인 투자심리선은, 말 그대로, 투자자들의 심리를 수치화해서 나타낸 선입니다. 

투자자들이 매수나 매도에 얼마나 치우쳐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이 포스팅은 투자심리선의 계산식, 투자심리선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및 활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투자심리선이란?

 

주식의 가격은 사람들의 심리에 의해 결정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령, 주가가 최근 며칠간 계속 상승했다면 일반 투자자들은, 너무 많이 오르면 곧 조정이 있지 않을까 싶어서 매도주문을 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대로 주가가 최근 며칠간 연속적으로 하락했을 경우도, 반등 조정이 예상되어 매도주문을 냅니다. 

 

이러한 투자자들의 심리를 수치화한 것이 투자심리선입니다. 

최근 며칠 동안 (보통 10일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가가 상승한 날이 며칠이 되나를 통해서 주식이 상승추세에 있는지, 과열인지, 하락추세에 있는지를 알아보고 투자의 판단 근거로 삼으려는 것입니다. 

 

 

2. 투자심리선 계산식

 

 

최근 n일 중에서 상승한 날이 며칠인지의 비율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최근 10일 중에 상승한 날은 3일뿐이고, 하락한 날이 7일이라면, 투자심리선은 3/10=0.3=30%입니다. 

 

 

투자심리선 = [최근10일간 전일 대비 상승일 수 / 10일] × 100

 

 

물론 이 심리선도 투자자가 직접 계산할 필요는 없습니다. 차트를 통해 자동으로 계산해 주는 기능이 있기 때문입니다. 

 

 

3. 투자심리선을 보려면

 

다음, 네이버 증권 차트 창에서는 확인이 안되는 지표입니다. 

증권사의 HTS 나 MTS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투자심리선 설정하기 (신한투자증권 MTS)

 

 

 

개별차트의 오른쪽 상단 톱니바퀴를 클릭하면 차트에 대해 세부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심리선은 '시장강도' 지표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시장강도'를 클릭하면, 아래쪽에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심리도 옆의 ">" 모양을 클릭하면 심리도에 대한 세부설정도 할 수 있습니다. 

 

 

하단에 투자심리선 그래프가 추가되었다. (신한투자증권 MTS)

 

 

 

본차트 아래 쪽에 심리선 차트가 생긴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심리도는 직선이고 곡선으로 나타난 선은 시그널 선입니다. 선의 색상은 세부설정에서 바꿀 수 있습니다. 현재는 두 색이 너무 비슷하네요. 

"심리도(10)"은 10일간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수치라는 뜻입니다.

6일간 상승비율을 알고 싶으면 심리도 세부설정할 때 6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4. 투자심리선을 투자에 활용하는 방법

 

 


전문가가 권장하는 투자 심리선 활용 방법

투자심리선이 25% 이하일 경우 : 침체국면이므로 매수
투자심리선 75% 이상일 경우 : 과열권이므로 매도
투자심리선 25% 이하에서 상승 반전하는 경우 : 매수
투자심리선 75% 이상에서 하향 반전하는 경우 : 매도

주가가 상승하면서 투자심리선이 하락하는 경우 : 상승세가 약화되고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음

 

 

심리선에 대한 세부 설정 : 기준선 수치를 설정할 수 있다. (미래에셋대우 MTS)

 

 

 

 매수, 매도의 기준선은 설정해 놓으면 MTS나 HTS에서 자동으로 그려주므로 편리합니다. 

 

 

 

위의 기준은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기는 하지만, 이 수치가 항상 옳은 판단을 내리게 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므로 다른 기술적 지표들과 함께 사용해서 종합적으로 판단하도록 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