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D와 스토캐스틱은 다수의 전문가가 활용하는 대표적인 보조지표입니다.
MACD가 주가의 방향을 나타내는 지표라면, 스토캐스틱은 방향의 전환점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참고로, "stocastic"은 영어 단어로, '확률적인'이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stocastic 지표의 계산방법으로는 fast와 slow의 두 가지가 있는데 각각의 계산 방법 및 활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tocastic Fast , Stocastic Slow
Stocastic 지수는 현재 주가 수준이 전체적인 주가 흐름 가운데서 어느 정도의 단계에 위치하는 지를 알아봄으로써 미래의 주가를 예측하는 분석기법입니다. 위치는 0~100%로 나타냅니다.
스토캐스틱은 상승추세에서는 그날의 종가는 최근 기간 중 최고가에 근접해 있고, 하락추세에서는 그날의 종가가 최근 기간 중 최저가에 근접해 있다는 논리에서 시작합니다. 따라서 최근일의 가격 변동폭에 비해 현재의 시장 위치가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냅니다.
간단한 예를 들어서 최근 10일 동안의 최저가: 10, 최고가 110, 당일 종가 40인 경우, 최근 10일간의 가격 변동폭은 110-10=100이 됩니다.
그리고 현재 시장위치는 40에서, 저점 기준가격인 10을 뺀 40-10=30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30%에 위치해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참고로 stocastic fast 는 Fast% K와 Fast% D를 비교분석하는 기법이고, Stocastic slow는 Slow% K와 Slow% D를 비교분석하는 기법입니다. 이중 Stochastic Fast는 주가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Stochastic Slow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그러면 각각의 계산은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Stochastic 계산방법
계산식은 아래와 같으나 당연히 투자자가 직접 계산할 필요 없고 전산에서 자동으로 계산해 줍니다.
1. Fast%K
Fast% K = [(당일 종가 - 최근 n일 동안의 최저가) / (최근 n 일 동안의 최고가 - 최근 n 일 동안의 최저가 )] × 100
(예) 다일 종가 800, 최근 5일간 최저가 700, 최근 5일간 최고가 900인 경우
분자 : 900-700=200
분모 : 800-700=100
따라서 전체 범위 200중에서 100의 위치인 50% 정도에 위치해 있다 : 100/200=0.5=50%
2. Fast% D
Fast%D = % K를 지수이동평균한 값
평균을 계산할 때 최근의 자료에 좀 더 가중치를 둠으로서 평균값을 정교화한 값입니다.
3. Slow% K
Slow%K = Fast% D = % K를 지수이동평균한 값
Slow% K는 위 2번의 Fast% D와
4. Slow% D
Slow% D는 Fast% D를 지수이동평균한 값입니다.
계산된 값을 볼 수 있는 곳
HTS, MTS, 포털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차트에서 "보조지표"를 누르면 여러 가지 지표들이 나오는데 그중에서 스토캐스틱을 선택하면 주가 그래프 아래쪽에 Stochastic 그래프가 추가로 나타납니다.
스토캐스틱 옆에 있는 (설정) 버튼을 누르면 수치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위의 그래프에서 FAST STC(5, 3)은 % K값을 5, % D 값을 3으로 설정했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SLOW STD(12, 5, 3)은 기간을 12, %K값을 5, %D 값을 3으로 설정했다는 뜻입니다.
cf. 스토캐스틱의 기준선
스토캐스틱은 일정한 기간에 최고 가격을 100으로 하고 최저가격을 0으로 하기 때문에 지표가 100과 0 사이에서만 등락합니다. (백분율과 같은 개념)
스토캐스틱이 50이라면 분석기간 중 중간에 위치한 값이 되며 이를 기준선이라고 합니다.
활용방법
매수나 매도의 포인트가 될만한 점들을 예를 들어 몇 군데 표시했습니다. (전부 표시하지는 않았습니다. )
투자전문가의 활용법
1. 기준선 활용 (기준선 =50%)
지표가 기준선을 상향 돌파할 때 : 매수
지표가 기준선을 하향 돌파할 때 : 매도
2. 신호선 활용
% K가 % D를 골든크로스하면 : 매수신호
%K가 %D를 데드크로스하면 : 매도신호
3. 과매수, 과매도 구간 활용
스토캐스틱이 80% 이상일 경우 과매수 : 80%를 하향돌파할 때 매도
스토캐스틱이 20% 이하일 경우 과매도 : 80%를 상향돌파할 때 매수
4. 진행방향이 바뀔 때
스토캐스틱이 상승 반전 : 매수
스토캐스틱이 하락 반전 : 매도
5. 추세 비교
종가 이동평균선이 상승추세일 경우 : 매수
종가 이동평균선이 하락추세일 경우 : 매도
* 이 블로그의 모든 내용은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투자에 참고만 하시기 바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심리선 의미, 활용방법, 계산식 (0) | 2024.08.05 |
---|---|
이격도 의미, 계산식, 차트에서 보기, 투자에 활용하기 (0) | 2024.08.04 |
보조지표란? 보조지표의 종류, MACD 보는 방법, 해석 (0) | 2024.07.27 |
이동평균선의 배열을 보고 투자에 활용하기 :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정배열, 역배열 (0) | 2024.07.27 |
이동평균선을 투자에 활용하는 방법 2가지 (0) | 2024.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