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미국주식] 배당주와 관련된 세금 (cf. 배당 달력 예시)

반응형

 

 

배당금도 엄연히 소득이기 때문에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다만 한국 배당주와는 약간 다른 점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주식의 배당금과 관련된 세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배당 소득세 : 15%

 

 

배당금은 배당소득으로 분류되어 세금을 내야 합니다. 

미국 기업으로부터 받는 배당금에는 15%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한국 기업이 주는 원화 배당금의 경우 15.4%의 세율이 적용되니 달러로 받는 배당금의 세율보다 약간 높은 것입니다.)

 

 

 2. 배당 소득세는 원천징수

 

 

배당소득세는 배당금을 받은 개인이 추후에 납부하는 것이 아니라, 증권사에서 미리 배당소득세를 차감한 뒤 고객한테 나머지 금액을 입금해 줍니다. (이 점은 한국의 배당주와 동일합니다.)

 

예를 들어 $100의 배당금을 받게 되었다면 이 금액의 15%에 해당하는 $15를 원천징수를 해 가고 남은 $85가 입금되는 것입니다. 

 

원천징수한 $15는 증권사가 세무서에 배당소득세로 대신 납부하게 됩니다.

 

 

 3. 금융소득 종합과세에 포함될 수도 있음 (2000만 원 초과 시)

 

 

금융소득 종합과세란, 금융소득(이자와 배당 등)이 연간 2000만 원을 초과하게 되면, 다른 소득과 합산한 금액으로 세율을 결정하여 납부하는 것을 말합니다. 

 

국내에서 발생한 이자와 배당 소득뿐 아니라 해외기업으로부터 외화(달라 등)로 받은 배당까지 합하여 금융소득으로 간주됩니다. 

미국 주식의 경우 달라로 받은 배당금을 원화로 환산하여 계산한 값을 더하게 됩니다. 

 

 

 

 참고 : 배당금 달력

 

 

 

 

배당금 칼렌더 ( 출처 : 유튜브 소수몽키)

 

 

배당 달력을 만들어서 배당금을 기록해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사진은 하나의 예시입니다.

 

배당 달력의 예시

 

이와 같이 월별로 보유한 종목의 티어와 배당금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할 수도 있습니다. 

 

매월 받는 배당금으로 생활비를 충당하거나, 여행비 등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