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옵션 거래 계좌를 개설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선물거래를 하려면 증권사에서 "선물옵션계좌"를 만들어야 합니다. 주식계좌가 있더라도 추가로 선물옵션계좌를 새로 만들어야 합니다.
예전에는 본인이 직접 신분증을 갖고 증권회사에 방문해서 '선물 및 옵션계좌'를 개설해야 했지만, 요즘은 비대면으로도 가능해졌습니다.
신한투자증권 [d22]
www.shinhansec.com
선물옵션 거래에는 증거금이 필요한데, 선물옵션 계좌를 만들 때 현물계좌(일반 주식계좌)와 선물계좌를 연계시켜 두면, 현물계좌에 있는 주식을 증거금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계좌개설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투자성향 확인
선물옵션 거래는 매우 위험한 투자이므로, 나의 투자성향이 1등급/공격투자형이 아니라면 계좌개설이 불가능합니다. 나의 투자성향은 기존에 작성한 것이 있는 경우, 새로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2. 투자상품 가입 신청
투자상품 가입에 '선물옵션'에 체크를 하고 '선물', '옵션', '금,돈육선물 전용'등 원하는 상품에 체크를 합니다.
3. 선물옵션 약관 및 위험고지 승인
파생상품 약관, 위험고지서, 주요내용 설명서 등을 읽어본 후 등록해야 합니다.
4. 사전교육, 모의거래 이수
2014년부터는 파생상품 사전교육 및 모의거래를 이수하는 것이 필수가 되었습니다.
단, 특정 금융자격증이 있는 사람, 혹은 파생상품 업무 경력이 1년 이상인 사람은 모의 투자이수를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5. 기본예탁금 입금
선물옵션 거래를 위해서는 최소한의 기본예탁금을 입금해 두어야 합니다. 투자자별, 거래유형별로 기본예탁금은 차등화되어 있으며, 최소한 500만원 이상입니다.
선물거래의 특징
현물주식은 주가가 올라야만 수익을 낼 수 잇습니다. 그러므로 종합주가지수는 상승하고 있는데 내가 가진 종목은 오히려 주가가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반면에 선물은 종목을 선택할 필요 없이 지수의 올라갈지, 내려갈지만 맞추면 됩니다. 그 점에서는 현물투자보다 쉽다고 할 수 있습니다. 주가가 떨어질 때는 선물을 팔아서 이익을 취할 수도 있습니다.
선물거래의 종류
선물을 산다는 것은 "long position"(선물매수)을 의미하고, 선물을 판다는 것은 "short position"(선물매도)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매수한 선물을 중간에 팔아버리는 것을 "long liquidation"(전매도)이라 하고, 팔았던 선물을 중간에 다시 사는 것을 "short covering"(환매수)이라고 합니다.
선물매수 : 지수선물을 새로 매수하는 것
선물매도 : 지수선물을 새로 매도하는 것
전매도 : 매수했던 지수 선물을 팔아 포지션을 청산하는 것
환매수 : 매도했던 지수선물을 다시 매수하여 포지션을 청산하는 것
미결제 약정이란?
미결제 약정이란, 선물이나 옵션계약에서에서 장이 종료됐는데도 아직 반대매매로 청산되지 않았거나 결제되지 않고 남아있는 있는 계약을 말합니다.
선물 거래가 1계약 이루어지게 되면 매수 1계약과 매도 1계약이 만나 거래가 성립된 것이므로, 미결제 계약수가 1계약이 새로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선물을 매수하거나 매도하면 미결제 약정이 증가합니다.
반면 전매도와 환매수는 계약을 청산하는 매매이므로 미결제 약정이 감소합니다.
선물 매수, 매도 : 미결제 약정 증가
전매도, 환매수 : 미결제 약정 감소
미결제 약정을 어떻게 활용하나?
상승추세에서 미결제 약정이 증가한다는 것은 상승추세가 강화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락추세에서의 미결제 약정이 증가한다는 것은 하락주세가 강화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미결제 약정이 급격히 줄어든다면, 기존의 추세에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미결제 계약수는 HTS나 MTS 창에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메뉴에서 "선물옵션"을 선택하고, "지수선물 전종목시세"에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사진은 "메뉴 > 선물옵션 > 선물옵션현재가"의 경로로 들어간 화면입니다. 상단에서 "미결제 추이"를 선택하고 밑에서 시간별 혹은 일별로 선택해서 볼 수 있습니다.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물 투자 유형 : 헷지거래, 차익거래, 스프레드 거래 (0) | 2024.06.11 |
---|---|
선물투자시 알아야 하는 용어들 & 파생상품 세금 : 개시증거금, 유지증거금, 일일정산제도, 최종결제일 (0) | 2024.05.27 |
KOSPI 200 선물 거래제도 : 종목, 거래단위, 거래일 (0) | 2024.05.24 |
파생상품이 필요한 이유 및 파생상품의 특성 (0) | 2024.05.22 |
파생상품의 뜻, 종류 (cf. 포지션, 레버리지란?) (0) | 2024.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