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를 할 때 PBR, EVEBITA 등의 재무제표 수치를 보고 투자하는 경우도 있지만, 차트의 변화를 보면서 투자를 하는 투자자들도 있습니다.
이렇게 차트 분석을 기초로 주가를 예측하는 기법을 "기술적 분석"이라고 합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기술적 분석의 가장 대표적인 예가 차트 분석입니다.)
기술적 분석이란, 앞으로의 주가를 예측하기 위해 과거의 주가나 거래량의 흐름을 분석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차트를 활용하여 주식을 분석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Bull Market(매수세가 강한 강세시장)과 Bear Market(매도세가 강하면 약세시장)
주가는 근본적으로는 기업의 가치에 의해 결정되지만,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의해서, 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기도 합니다.
주가가 오를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주식을 사려고 할 것입니다. 이렇게 수요자가 많은데 공급량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격이 오르게 되는 시장을 강세시장이라고 합니다. 영어로는 bull market이라고 하는데, 주가가 우상향하는 모습이 황소가 뿔을 세우고 위로 들이받는 모습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붙은 이름입니다.
반면에 주가가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으면 주식을 팔려고 하기 때문에 수요가 적어져서 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 이런 시장을 약세시장이라고 하며 영어로는 bear market 이라고 합니다. 곰이 앞발을 위에서 아래로 찍어 내리는 모습이 주가가 우하향 하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같은 주식인데 왜 서로 사고 파는 입장이 다른 것일까요?
주식을 사는 사람의 관점에서는, 기업가치보다 저평가되어 있으므로 나중에 제대로 평가받을 때가 올 것이라고 판단하여 매수하는 사람이 있을 것입니다.
또는, 유무상 증자나 신제품의 개발이 있다는 정보를 얻고, 영업실적이 좋아질 것으로 판단하여 사는 사람도 있습니다.
또는, 단지 외국인, 기관, 혹은 큰손들이 매수하기 때문에 따라서 사는 투자자도 있습니다.
또는, 기술적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주식 차트를 분석하여 매수시점이라 생각하고 사는 사람도 있습니다.
주식을 파는 사람들도 각자 나름의 이유를 갖고 매도를 합니다.
기업가치 대비 주가가 고평가됐다고 생각하는 경우, 혹은 단기 급등으로 수익을 실현하기 위한 경우, 혹은 공매도 세력이 주가를 떨어뜨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각자의 판단과 이유가 시장에서 만나서, 매수세력의 자금이 더 많고 강하면 주가는 상승할 것이고, 매도세력의 물량이 더 많고 강하다면 주가는 하락할 것입니다.
2. 기술적 분석방법의 대표주자 차트
기술적 분석이란?
주가나 거래량 등 주식시장에서 나타난 과거의 데이터를 근거로 분석하여 시세를 예측하는 방법을 "기술적 분석"이라고 합니다.
기술적 분석은 과거의 주가 추세와 패턴이 미래에도 반복된다는 것을 가정하기 때문에, 과거의 주가 움직임을 기록해 놓은 차트를 주로 이용합니다.
즉, 기술적 분석 = 주식 차트 분석 이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분석을 통해 투자심리, 매매 타이밍, 주가동향등을 예측합니다.
기술적 분석을 할 때는 주식 가격뿐 아니라 주식의 거래량도 함께 살펴보아야 합니다.
하루동안의 주가 변동을 알려주는 캔들 차트를 볼 수도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주가가 움직이는 패턴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도 있어야 합니다.
이동평균선도 분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외에도, 주가의 추세선을 그릴 줄 알아야 하고, 어느 구간에서 지지와 저항을 받는지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각종 보조지표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엘리어트 파동이나 일목균형표 등의 기법도 이해해야 합니다.
주식 차트에는, 서로 다른 견해를 갖고 있는 다수의 매수자와 매도자가 힘을 겨룬 결과가 나타나 있는데, 기술적 분석가들은 이 그래프를 보고 주가가 상승세에 있는지 하락세에 있는지를 파악합니다.
또한 주가가 오르고 있더라도 어느 시점에서 하락세로 전환할 것인지, 주가가 내리고 있더라도 언제 방향을 바꾸어 상승세로 전환할 것인지, 방향을 전환하는 변곡점을 추측합니다.
차트를 보고 어떻게 주가를 예측하는가?
차트분석가들이 주가의 방향성과 변곡점을 찾아내는 근거는 무엇일까요?
주가 그래프의 세 가지 본질적인 특성에서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1) 추세 계속성
상승(또는 하락) 추세인 주가는 새로운 변화가 나타날 때까지 계속 상승(혹은 하락)하려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렇게, 그래프가 새로운 변화가 나타날 때 까지는 진행방향을 계속 유지한다는 특성을 '추세계속성'이라고 합니다.
(2) 반복성
도표상의 주가 모형은 반복하려는 특성이 있는데, 이를 '반복성'이라고 합니다.
그래프에 삼봉천정형(head & shooulder formation)이 나타났을 때 과거에 주가가 떨어진 경우가 있으니, 다음에 또 같은 모형이 나타난다면 주가가 이 때도 하락하리라고 판단하는 것입니다.
삼봉천정형이란?
산봉우리가 3개가 연달아 있는 모양의 그래프를 말합니다.
"삼중천정형"이라고도 하고, 영어로는 사람의 머리와 양 어깨의 형상이라는 뜻에서 "head and shoulder 형"이라고도 합니다.
참고로, 삼봉천정형은 전형적인 주가 하락에 나타나는 패턴입니다.
(3) 기업가치 회귀성
'기업가치 회귀성'이란, 주가에도 어느 정도 회귀하려는 구심력이 있다는 성질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이동평균선에서 너무 멀어지면 구심력에 의해서 이동평균선으로 회귀하려는 속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이동평균선의 값은 투자자 다수가 인정한 기업가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차트는 과학, 심리학, 예술이다.
현대의 기술적 분석가들은 차트를 과학이고, 심리학이며, 예술이라고 합니다.
과학으로 보는 이유는 게임이론, 확률론, 기하학 같은 수학적 개념이 차트에 도입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차트의 결과에는 군중심리와 집단심리가 담겨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매수자는 탐욕에, 매도자는 공포에 빠지기도 함) 심리학과도 연관이 많다고 봅니다.
또한 분석자들이 차트의 움직임을 보면 감정의 강약이나 리듬을 느낀다고 하여 예술이라고도 표현합니다.
차트에는 여러가지 패턴이 나타납니다. 대댜수 차트분석가들은 자기가 경험하고 기억하는 흐름이나 패턴을 발견하면 매매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차트를 투자에 활용하기 (0) | 2024.07.01 |
---|---|
봉차트 보는 방법, 미국식 차트와 한국식 차트 (0) | 2024.06.29 |
옵션거래의 6가지 전략 : 커버드 콜, 콜옵션, 풋옵션, 스트래들, 스트랭글 등 (0) | 2024.06.21 |
KOSPI200 지수 옵션 거래 종류 : 형태별, 결제월별, 행사가별 (0) | 2024.06.19 |
옵션 거래의 개념, 특징 (0) | 2024.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