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관심종목에 대한 매매 타이밍 잡을 때 확인해야 할 것들

반응형

 

내가 관심을 갖고 있는 주식을 언제 사고팔아야 할지 매매 타이밍을 잡으려면, 자신만의 원칙을 세워두는 것이 좋습니다. 

매수와 매도 타이밍을 찾기 위해서는 관심종목의 추세선, 이동평균선, 보조지표, 사이클, 봉차트, 30분 봉을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추세선과 이동평균선을 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관심종목의 추세선을 체크해보기

 

 

(1) 일봉그래프 보기

 

HTS, MTS 나 다음, 네이버와 같은 포털의 증권창에서는 그래프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일봉그래프에서는 봉차트를 가장 먼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다음증권창 일봉그래프

 

 

 

 

상단에서 일봉 대신 주봉과 월봉으로 설정해 놓으면 좀 더 요약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2) 이동평균선 보기

 

위 차트에서는 5일, 20일, 60일, 120일 이동평균선이 나와 있습니다. 

각 선위에 마우스를 갖다 대면 며칠에 대한 이동평균선인지 확인 가능합니다. 

 

 

(3) 당일의 거래량 체크하기

 

당일의 거래량도 상단에 정확한 수치로 알려주고 있습니다.

하단에는 거래량을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차트가 보입니다. 

 

 

(4) 추세선도 확인하기

 

 

 

추세선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저점을 연결하면 상승추세선을 알 수가 있고, 고점을 연결하여 하락추세선을 볼 수도 있습니다. 

어떤 투자자들은 자를 갖고 대보거나 지지선이나 저항선을 그려보는 투자자들도 있습니다. 

 

 

 2. 관심종목의 이동평균선을 면밀히 분석하기

 

 

 

HTS, MTS에서는 며칠에 대한 이동평균선을 볼 것인지 날짜를 직접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대체로 차트에는 기본적으로 5일, 10일, 20일, 60일, 120일, 200일의 이동평균선이 나와있는데, 이동평균선을 볼 때는 대체로 20일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봅니다.

 

 

 

 

매수에 적합한 타이밍을 찾기 위해서는  이동평균선의 모양이 일정한 모양으로 상승하고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매수하기에 가장 이상적인 모양

  • 모든 이동평균선들이 정배열 상태(위에서부터 5일-10일-20일-60일 등의 순서)로 상승추세에 있습니다.
  • 주가는 5일 이동평균선을 타고 상승하는 모습입니다.
  • 상승추세에서 5일, 10일, 20일 이동평균선이 뭉쳐져 있다가 상승신호를 보내는 형태가 좋습니다.
  • 주가가 바닥권에 있을 때 이런 모양을 갖추는 것이 더욱 좋습니다.
  • 주가가 단기간에 지나치게 급상승한 종목이나 거래량이 안정적이지 못한 종목은 매수를 보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 포스팅의 내용은 개인적인 의견이며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