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 증시의 3대 주가지수로는 S&P 500 지수, 나스닥 종합지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가 있습니다.
이들 각각의 기본적인 정보와 특징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P500 지수란?
- 개발기관 :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미국의 스탠다드 앤 푸어스(S&P)가 작성한 주가지수입니다.
- 포함종목 : 미국의 대표적인 기업 500개를 산정하며 세부적으로는, 공업주 400 종목, 운수주 20 종목, 공공주 40 종목, 금융주 40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 500개의 기업은 미국 내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의 시가총액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거래소 : 뉴욕증권거래소, 나스닥, 시카고 옵션 거래소
- 지수의 의미 : 기준시점의 시가총액에 비해 늘어난 시가총액을 나타냅니다.
- 장점 : 다우존스 지수에 비해 시장전체의 동향을 파악하는데 더 용이하고 시장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양한 산업군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 경제 흐름의 전반적인 모습을 가장 잘 보여준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 단점 : 대형주의 영향을 크게 받는 단점이 있습니다.
- 최초 시작일 : 1957년 3월 4일 (이 때의 지수를 100으로 기준으로 합니다.)
- 연평균 수익률 : 약 11%
- 기타 지수 : S&P 400 - 중형주를 모은 지수, S&P 600 - 모은 지수
나스닥 종합지수(NASDAQ Composite Index)란?
- 개발기관 : 미국증권협회
- 포함종목 : 나스닥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3000개 가량의 보통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컴퓨터 관련기업 40%, 제조업 29%, 금융업 14%, 텔레커뮤니케이션산업 12%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거래소 : 나스닥
- 지수의 의미 : 기준시점의 시가총액에 비해 늘어난 시가총액을 나타냅니다. 시가총액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해 산출합니다.
- 장점 : 상장된 종목 전체를 대상으로 지수를 산출하므로, 시장 전체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용이합니다. 애플, 구글, 페이스북과 같은 첨단 기술 기업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전세계 기술주의 동향을 살펴보는 바로미터 역할을 합니다.
- 단점 : 시가총액식 주가지수이므로 대형주의 시세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됩니다.
- 최초 시작일 : 1971년 2월 5일 (이 때의 지수를 기준 지수 100으로 합니다.)
- 연평균 수익률 : 지난 10년간 약 15%
- 기타 지수 : 나스닥 100 (NASDAQ 100) - 나스닥에 상장된 종목 중 시가총액이 크고 거래량이 많은 상위 100개의 비금융업종 대표기업으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란?
- 개발기관 : S&P 500 지수와 마찬가지로,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미국의 스탠다드 앤 푸어스(S&P)에서 발표하고 있습니다.
- 포함종목 : 미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대형주 30개 만을 포함합니다.
- 거래소 : 뉴욕증권거래소, 나스닥
- 지수의 의미 : 전일 지수를 사용하여, '개별기업의 수익률의 총합÷총 기업수'로 계산합니다. 산술평균이기 때문에 가중평균을 사용하는 S&P500이나 나스닥지수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산술평균의 특성상 버크셔헤서웨이와 같이 크게 동떨어진 값을 갖는 종목들은 제외합니다.)
- 장점 : 블루칩(우량주) 클럽이라고도 하며 가장 신용있고 안정된 주식 30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미국 증권시장의 동향과 시세를 알 수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된 대표 주가지수입니다.
- 단점 : 산술평균이다보니 지수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
- 최초 시작일 : 1896년 5월 25일 40.94 달러로 시작되었습니다.
- 연평균 수익률 : 과거 10년간 연평균 10% 이상
반응형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미국 ETF 거래하려면? (계좌개설, 거래 절차, 소숫점 거래 신청 등 미래에셋증권 MTS 중심으로) (5) | 2024.10.08 |
---|---|
미국 주식 투자 특징(한국 주식 시장과 다른 점) - 세금, 수수료, 거래가능시간, 차트표시 등 (0) | 2024.10.06 |
손절매와 물타기 (0) | 2024.09.21 |
관심종목에 대한 매매 타이밍 잡을 때 확인해야 할 것들 (0) | 2024.09.12 |
주식 용어 알아보기 : 금융장세, 실적장세, 역금융장세, 역실적장세 (의미와 특징, 각 장세별 주도주) (0) | 2024.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