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R 수치에 대한 요약
PBR(주가순자산 비율)은 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어느 정도나 높은 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이 수치가 1이면 기업의 가치가 주가와 같다는 뜻이고 1보다 낮으면 주가가 기업의 가치에 못 미친다는 뜻입니다.
올해 들어 정부에서는 "밸류업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발표했는데, 주가가 기업가치보다 낮게 평가되는 현상을 극복하자는 취지에서였습니다. 작년에 일본에서 '저 PBR기업 주가 높이기'를 시도해서 성과를 거둔 면이 있는데 우리 정부 역시 이를 참고해서 추진한다고 밝힌 것입니다.
PBR 값을 확인하려면
그렇다면, PBR값은 어디서 확인할 수 있을까요?
증권사 사이트에서도 확인가능하지만, 다음이나 네이버 등의 포털 사이트에서도 회사이름을 검색하면, 값이 나옵니다.
하지만, 특정 시점에서 PBR값은 검색을 하면 쉽게 찾을 수 있지만, PBR차트는 대체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을까요?
시간의 흐름에 따른 PBR의 값의 변동 추세를 차트로 확인한다면 투자 결정을 내리는데 더 도움이 될 것입니다.
요즘은 HTS보다 MTS를 많이 사용하니, MTS에서 PBR chart를 찾아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저는 신한투자증권을 이용하기 때문에 신한투자증권 MTS에서 찾을 수 있는 경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제 핸드폰에는 미래에셋증권의 MTS도 깔려 있어서 확인해 봤지만 미래에셋에서는 PBR 차트를 지원하지 않았습니다.
만약에 PBR차트를 지원하는 증권사 앱이 있다면 신한투자 증권과 비슷한 방법으로 찾을 수 있을 것이니 참조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신한투자증권 MTS의 경우,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차트를 보는 것은 가능합니다.
그리고 PBR지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cnadysam.tistory.com/21
PBR(주가 순자산 비율) 을 주식투자에 활용하는 방법
PBR(주가순자산비율)이란? PBR은 Price to Book-value Ratio의 약자로서 "주가 순자산 비율"이라고 합니다. 주가를 1주당 자산가치로 나누었을 때 몇 배나 되는지를 나타낸 값인데, 다시 말해서 기업의 시
cnadysam.tistory.com
MTS로 찾아보는 경로
1. 신한투자증권 MTS에 접속을 합니다.
2. 상단의 검색란에 원하는 상장사의 기업 이름을 검색하여 나오면 클릭을 해줍니다.
3. 그러면 차트가 나오는데 화면 상단에서 톱니바퀴 모양을 누릅니다.
4. 그러면 차트 전체 설정을 할 수 있도록 여러 항목들이 나옵니다.
관심지표, 차트유형, 시장지표, 추세지표 등등 여러 항목이 있는데 그 중에서 "시장지표"를 눌러줍니다.
5. "시장지표"의 하위 항목으로 개인순매수, 외국인 순매수... 등등 여러 가지가 나오지만 그중에서 "PBR"을 선택합니다.
6. 참고로, PBR 옆의 ">" 모양 화살표를 눌러주면 차트 모양을 라인으로 할지, bar로 할지, 그리고 선의 두께와 색상까지 지정할 수 있습니다.
7. 그러면 맨 하단에 별도로 PBR차트가 나옵니다.
위의 사진은 삼성생명 차트인데 현재 PBR이 0.44로 낮은 수준에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일단위로 설정한 PBR차트입니다.
월단위로 검색하면 최근 1개월 정도의 자료만 나오고 연단위로는 아예 나오지가 않았습니다.
신한투자증권 MTS에서 PBR차트를 지원한지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최근에 PBR을 검색하려는 사람이 많아서 최근에 새로 등록하지 않았나 싶네요.
금융사의 PBR수치
PBR수치가 1보다 낮은 상장사들 가운데 금융관련 업종이 많으므로 저는 삼성생명을 검색해 보았습니다.
금융기관을 비교평가할 때는 PER을 참고하기는 하지만, PBR 지표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평가합니다.
대세가 상승장으로 바뀌는 때에는 증권주가 선도주로서 먼저 상승하고 그 다음에 보험과 은행이 뒤따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지표를 참고하는 방법 요약
제가 이전 포스팅에서 ROE, PER, EV/EVITA, PBR 수치에 대한 글을 올렸는데요, 종합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 ROE : 높으면 좋다
- PER : 낮을수록 좋다
- EV/EBITA : 낮을수록 좋다
- PBR : 낮을수록 좋다
이 4가지는 대표적인 지표이고 이 외에 업종에 따라 기업을 비교하고 평가하는 지표는 PSR, ROA 등 다른 지표들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서, 요즘 부동산 PF대출로 부실은행이 걱정이라면 은행을 평가하는 지표로 ROA(총자산수익률), ROE(자기자본이익률), 부실채권 비율, 충당금 적립비율 등을 살펴보면 됩니다.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피시장, 코스닥시장, 코넥스시장, K-OTC시장, 파생상품시장 (0) | 2024.04.06 |
---|---|
우량주, 성장주, 턴어라운드주, 부실주 구분하기 (0) | 2024.04.04 |
PBR(주가 순자산 비율) 을 주식투자에 활용하는 방법 (0) | 2024.04.02 |
이브이에비타(EV/EBITA)를 활용해 주식투자하는 방법 (0) | 2024.04.01 |
EPS,PER의 정의와 활용방법 (0) | 2024.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