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주식투자에 필요한 공시 정보 알아보기

반응형

 

 

 주식투자를 할 때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전체 시황을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개별기업에 대한 정보를 아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래야 저점에서 사서 고점에서 파는 등의 투자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투자에 필요한 정보를 어떻게 얻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주식투자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 방법 3가지

 

 

 

 

외국인과 기관투자가들의 경우, 기업의 가치를 알아내기 위해 여러 번 직접 기업방문을 하기도 하고 관계자와 인터뷰를 하기도 하면서 투자를 결정합니다. 하지만 개인투자자가 그렇게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다른 누군가가 직접 알아보고 만들어놓은 자료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1. 기업공시
2. 기업에 관한 분석자료
3. 매스컴의 보도 자료
4. 증시에 떠도는 루머

 

 

다른 사람이 만들어 놓은 정보 중에서 손쉽게 활용가능한 정보의 종류로는 크게 위의 4가지로 분류할 수 있고, 그중에서 기업공시, 기업분석자료, 매스컴 보도 자료의 중 첫 번째, 기업 공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공시란?

 

공시(公示, 공평할 공, 보일 시)란, 사업내용, 재무상황, 영업실적 등 기업에 관한 정보를 투자자 및 이해관계자에게 알리는 제도를 말합니다. 공시 내용에는 경영과 관련된 주요한 현안이나 변동상황도 포함됩니다. 

 

공시는 루머와 달리, 기업이 증권거래소를 통해 공식적인 발표를 하는 것이므로 신뢰성이 높습니다. 

물론, 기업은 자기 기업 홍보에 도움이 되는 호재성 정보는 적극적으로 공시하는 반면 악재성 정보에 대해서는 소극적으로 공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과하고, 루머를 듣고 투자하는 것보다는 기업 공시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안전합니다. 

 

기업에 관한 정보는 대형회사보다는 중소형회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중소형주의 경우 정보에 따라 기업의 사활이 좌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보를 판단할 때 가장 중요한 한 가지는, 그 정보가 1회성인지, 아니면 두고두고 장기간 기업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인지를 구분하는 것입니다. 

1회성 재료일 경우 악재로 인해 주가가 하락할 때가 오히려 매수기회가 되고, 호재로 인해 주가가 상승할 때가 매도의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삼성전자가 자사주를 매입할 때 (자사주 매입은 유통주식수가 줄어들어 주식의 가치가 오르는 경향이 있어서 호재로 여겨짐) 외국인은 주식을 사지 않고 오히려 매도를 했습니다.  기아차 노조비리(악재)가 터져서 매스컴에 top뉴스로 떠오를 때, 외국인은 기아차 주식을 매입한 경우가 그러한 경우입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기업의 수익성이나 성장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의 경우, 지속적인 관심을 두고, 주가가 조정될 때 매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기업공시를 확인할 수 있는 3가지 방법

 

(1) 한국거래소 상장공시시스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한국거래소 상장공시 시스템 바로가기

 

 

 

대한민국 대표 기업공시채널 KIND

 

kind.krx.co.kr

 

 

위 사이트에 방문해서 삼성전자를 검색해 보겠습니다. 

 

 

상장공시 시스템(삼성전자의 1년간 공시정보 검색)

 

 

우측에서 "오늘의 공시"를 누르면 날짜별로 각종 공시로 올라온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우측의 "회사별 검색"을 누르고 "회사명"에 원하는 회사 이름을 입력하고 기간을 설정해 검색하면 그 기간 동안 올라온 특정 기업의 공시 내용을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기업공시
삼성전자-기업공시

 

 

삼성전자에서 24년 4월 12일에 올라온 공시(최대 주주등 소유주식 변동 보고서)를 확인해보니 삼성전자 임원인 이부진씨가 4월 9일에 주식을 500만 주를 팔았다는 내용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2) 금융감독원에서 운영하는 전자공시시스템(DART)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금감원 전자공지시스템 바로가기

 

 

 

전자공시시스템

많이 본 문서 최근 3영업일 기준 가장 많이 본 공시를 보여줍니다.

dart.fss.or.kr

 

 

 

(3) 증권회사 HTS의 공시창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이런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니 각자 자신에게 편한 방법을 선택해서 이용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공시에 올라온 내용이 호재성 정보인지, 악재성 정보인지에 대한 분류는 아래의 포스팅에서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https://cnadysam.tistory.com/32

 

주식시장에서의 호재성 정보와 악재성 정보

기업이나 주식 시장에 관한 정보 중에서는 호재성 정보(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침)도 있고 악재성 정보(주가가 하락하는 영향을 미침)가 있습니다. 호재로 작용하는 정보들 가운데는 어떤 것들이

cnadysam.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