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포탈사이트에서 기업분석정보 얻기

반응형

 

 

상장기업에 대한 정보는 어디서 얻을 수 있을까요? 증권사 HTS에서도 찾을 수 있지만, 손쉽게 다음 금융이나 네이버 증권창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상장기업분석 자료는 Fn Guide(금융과 기업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서비스를 하는 전문기관)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증권사 HTS나 포털 사이트나 정보의 내용은 모두 동일하니, 편한 사이트에서 정보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상장기업에서 반드시 체크해야 할 사항

 

다음 금융창에서 삼성전자를 검색해서 나오는 예시로 알아보겠습니다. 

 

 

기업정보
기업정보

 

 

 

회사개요를 보면 어떤 일을 하고 있는 회사인지 간략하게 알 수 있습니다. 

 

하단에서 [기업정보] tap을 누르면 주요현황, 기업개요, 재무분석, 투자지표, 컨센서스, 업종분석, 지분현황의 7개의 카테고리가 나오는데 각각에서 살펴봐야 할 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로, 네이버의 경우는 [종목분석] tap을 누르면 기업현황, 기업개요, 재무분석, 투자지표, 컨센서스, 업종분석, 섹터분석, 지분현황의 8개 카테고리를 볼 수 있습니다. 

 

 

 

1. 회사 현황

 

▶ 무슨 사업을 하고 있는가? (회사개요에서 알 수 있음)

▶ 사업 전망은어떠한가?

그렇게 전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투자의견은 어떻고 목표주가는 얼마인가?  (투자정보 카테고리에서 확인)

 

 

2. 기업개요

 

▶ 주요 제품별 매출 구성 비율은 어떤가?

▶ 연구개발비 지출현황은 어떠한가? 활발한가?

▶ 내수 및 수출비중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 관계사 현황: 90% 이상 출자하고 있는 관계회사에는 어떤 기업이 있는가?

 

 

 

 

3. 재무분석 

 

재무분석 카테고리에서는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의 재무제표를 볼 수 있습니다.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이 양호한지 확인

 

 

 

4. 투자지표 중 가치지표 카테고리

 

▶ EPS는 얼마인지, 증가율이 높은지 확인

▶ PER은 어느 수준인지 확인, 만약 지나치게 높다면 PER만큼 성장성이 있는가? 예상 PER이 낮아지고 있나?

▶ EPS는 증가추세인지 확인

▶ 예상 PBR수치가 낮아지고 있는지 확인

▶ 예상 EV/EBITA 수치가 낮아지고 있는지, 하락률이 큰지 확인

 

 

 

 

 

5. 컨센서스 

 

주식시장에서 컨센서스란, 애널리스트들이 작성한 기업에 대한 예측치들을 모아놓은 것을 말합니다. 

컨센서스는 기업의 수익성, 안전성, 성장성에 관한 과거의 지표 및 향후 2~3년간의 지표에 대한 예측치도 있습니다. 

미래 투자지표는 주가를 예측하는 핵심이므로 투자에 앞서 필수적으로 체크해보아야 합니다. 

 

 

6. 업종 분석

 

비슷한 업종의 회사들의 재무지표가 나와있어서 비교가 가능합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LG전자 등) 유사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을 분석해 보면 도움이 됩니다. 어떤 기업의 실적이 좋아지면 동일 업종이나 경쟁관계에 있는 업체의 실적도 호전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경쟁사 분석을 통해 유망종목을 발굴할 수도 있습니다.

 

▶ 경쟁사에는 어떤 기업들이 있는지 체크

▶ 투자지표로 볼 때 경쟁사 대비 비교우위에 있는지 체크

▶ 경쟁사의 주가는 상승추세인지 체크

 

 

7. 지분현황

 

대주주의 지분이 크게 감소한다면 일반투자자들이 알 수 없는 숨은 악재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최대주주의 지분이 증가하고 있는가, 감소하고 있는가?

 

 

 

 

8. 기타

 

▶ 최근 리포트에서 기업전망이 좋게 나타났는지

기업전망 리포트는 애널리스트가 예측하여 작성한 것이므로 언제든지 수정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정기적으로 기업분석자료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투자의견이 "강력매수"이거나 "매수" 인가? 최근 투자의견이 상향되었는가? (투자정보 카테고리에서 확인)

 

 

목표주가 및 매매의견 확인하기
목표주가 및 매매의견 확인하기

 

 

▶ 금감원 공시는 어떤지 확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