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의 상한가와 하한가란?
대한민국은 미국이나 유럽과 다르게 개별 주식의 가격이 오르거나 내리는 폭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어떤 주식의 가격이 전일 종가 가격의 30% 이상 오르거나 내릴 수 없게 하는데, 이렇게 개별 종목의 주가가 하루에 상승할 수 있는 최고 가격을 상한가라고 하고 최저가격을 하한가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서 전일에 종가가 1만 원이었던 주식은 그다음 날 주식 시장에서는 1만 원의 30퍼센트인 3000원을 더한 가격인 1만 3000원까지 오를 수 있고 3000원을 뺀 가격인 7000원까지만 하락할 수 있습니다.
주로 자본시장의 발달이 덜 된 국가일수록 가격제한 폭이 좁습니다. 미국과 유럽 같은 선진국은 가격제한 폭이 아예 없습니다.
거래중지제도
주가가 지나치게 폭등하거나 폭락하게 되면 투자자들은 불안해질 것입니다.
그래서 이런 심리를 안정시키고, 투자가들간에 서로 정보를 공유할 시간을 주기 위해서 매매를 일시적으로 지연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제도가 두 가지 있는데, 하나는 사이드카 제도이고 다른 하나는 서킷 브레이커 제도입니다.
사이드 카(Sidecar)
사이드카는 선물 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상승하거나 하락할 때 5분 동안 주식시장의 프로그램 매매 호가 효력을 무력화시키는 제도입니다.
사이드카가 일단 발동되면 5분동안 주식시장의 프로그램매매가 정지됩니다.
주식시장 매매거래 종료시각 40분 전(오후 2시 50분) 이후에는 발동할 수 없으며 1일에 1회 발동할 수 있다는 제한이 있습니다.
(선물이 무엇이고, 주식시장의 개장 및 종료 시간에 대해서는 이 포스팅의 아래쪽에 설명해 두었습니다.)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drs)
주가가 갑자기 급등하거나 급락할 경우 주식 매매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제도이며, 정지시키는 이유는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입니다.
한국어로는 "주식거래 중단제도"라고 합니다.
서킷 브레이커는 3단계에 걸쳐 발동되는데 주가 변동폭이 각각 8%, 15%, 20% 일 때 발동됩니다.
1단계는 종합주가지수가 전일에 비해 8% 이상 하락하여 1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입니다. 이때 모든 주식 거래를 20분간 중단합니다. 그 후 10분간 새로 호가를 접수하여 단일가격으로 매매합니다.
그다음 단계로, 15% 이상 하락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진행합니다.
하지만 3단계 상황이 되면, 즉 20% 이상 하락하여 1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발생하면 그날은 주식 시장이 종료됩니다.
정적 변동성 완화 장치란?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가 지수 급등락의 경우 지수 안정화를 위해 거래를 중지시키는 제도라면, "정적 변동성 완화장치"는 개별 종목에 대한 가격의 안전화를 위한 장치입니다.
개별종목의 잠정 체결가격이 10%이상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경우 2분간 단일가로만 매매할 수 있게 하여 주가 급변을 완화하는 제도입니다.
정규 증권거래 시간
국내 주식시장의 경우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거래가 가능합니다.
선물이란?
선물(先物, Futures)이란 미래의 특정한 시기에 상품을 넘겨줄 것을, 현재 시점에 가격을 정하여 매매 계약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선물 거래는 주식뿐 아니라 가능하지만, 원자재인 석유, 금, 농산물도 가능합니다. 이렇게 주가지수 선물, 통화선물, 금리 선물 등에 대해서는 "금융선물"이라고 하며 콩, 옥수수와 같은 곡물이나 금은 같은 광물, 원유 등의 선물은 "상품 선물"이라고 합니다.
선물 거래를 하는 이유는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기 위해서입니다.
예를 들어서 수박 100만 원어치를 7월에 받겠다고, 3월에 미리 105만 원을 주고 계약하는 것입니다.
수박농사가 풍년이라서 수박값이 하락하더라도 농부는 안정적인 수입을 얻게 되고, 수박이 흉작이라서 가격이 폭등하더라도 농가는 수익은 줄겠지만 일정량의 수입은 보장받으며 구매하는 쪽에서는 안정적인 가격에 물건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고자 계약이 체결됩니다.
선물제도는 미국 시카고 지방에서 처음 시작되었습니다.
미국 시카고에서 가을이면 농작물이 풍부하여 가격이 폭락하고, 봄이면 농산물이 바닥이 나서 가격이 폭등하는 일이 매년 반복됐습니다. 이에 시카고 농민들은 시카고 상품선물거래소를 설립하여 처음으로 선물거래를 개시했습니다.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S, ETF는 어떤 상품인가? (0) | 2024.03.19 |
---|---|
펀드의 종류 (0) | 2024.03.17 |
종합주가지수(코스피, 코스닥) 액면분할과 액면병합 (0) | 2024.03.14 |
무상증자, 유상증자, 공모주 청약은 이득일까, 손실일까? (0) | 2024.03.11 |
주식의 기초 용어 : 증권, 증자, 감자, 자본잠식, 공모주, 청약, 상장, 권리락, 유통시장, 발행시장 (0) | 2024.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