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펀드의 종류

반응형

 

 

펀드의 종류 

 

펀드는 시간이 없거나 전문 지식이 부족하여 직접 주식을 사고팔기 우려운 투자자들이, 자신들의 투자자금을 금융에 맡기면, 금융사에서 전문가들이 대신 투자하여 그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방식의 상품입니다. 

원금이 보장되지 않으며, 시장상황은 변하기 때문에 과거 수익률만 믿고 펀드에 가입한다면 손실이 날 수 있습니다. 

펀드는 투자대상, 주식투자비율, 투자 기간등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며, 이 포스팅에서는 투자대상에 따른 펀드의 종류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펀드의 종류
펀드의 종류

 

1. 주식형 펀드

 

주식형 펀드라고 해서 모든 자산을 주식에 투자하지는 않습니다. 운용자산의 60% 이상을 주식에 투자하도록 설계된 펀드이며, 이 비율은 90% 이상까지 높아지기도 합니다. 따라서 기대수익률이 높기는 하지만 위험성도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투자하는 주식이 어떤 종류인지에 따라서 가치주형, 성장주형, 배당주형 등으로 나누기도 합니다.

 

2. 채권형 펀드

 

채권형 펀드는 자금의 60% 이상을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채권에 투자하는 만큼, 위험은 주식형 펀드에 비해 적지만 기대수익률도 그만큼 낮습니다

 

채권형 펀드라고 해서 수익률이 확정적인 것은 아닙니다. 경제 상황에 따라 수익률이 변하기 때문에 펀드를 운용하는 주체의 운용 능력을 따져보고 펀드 규모가 큰 것을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3. 혼합형 펀드

 

주식과 채권의 투자 비율이 어느 한쪽에 60% 이상 치우쳐지지 않게 혼합하여 투자하는 펀드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채권에 30%, 주식에 40%, 기타 유동자산에 30%를 투자한다면 혼합형 펀드입니다. 

 

4. 해외투자 펀드

 

해외 주식이나 해외 펀드에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국내투자 펀드에 비해 수익률이 높지만 위험성도 높았습니다. 한 때 BRICs(Brazil, Russia, India, China)에 투자하는 펀드가 인기가 높았고 최근에는 베트남에 투자하는 펀드도 인기가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경제성장률이 낮은 미국, 유럽, 일본 등의 국가는 기대 수익률이 낮은 특징이 있습니다. 

 

해외투자펀드로 고수익을 냈다 하더라도 환율이 높아진다면 결국 수익이 상쇄되어 없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따라서 해외투자펀드는 환헤지가 된 상품을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5년 이상 장기 주식형 펀드는 환헤지를 하지 않는 상품이 많은데, 환율 등락의 폭보다는 주가의 등락폭이 훨씬 크기 때문입니다. 

해외투자 펀드에 투자할 때에는 투자하는 국가의 경제성장률, 물가 수준, 금리, PER 등을 보고 투자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cf. 환헤지란?

 

외환(外換) + 헤지(hedge) 의 합성어로서, 영단어 hedge는 '(금전 손실을 막기 위한) 대비책'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환율변동으로 인해 손실을 입는 '환차손 위험'을 없애기 위해, 특정 가격에 환거래를 하겠다는 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말합니다.

대체로 통화 선물이나 옵션을 매입 또는 매도하는 방법으로 환율변동의 위험을 헤지합니다. 

 

 

cf. 해외펀드란?

 

해외펀드는 해외주식, 해외채권, 해외 부동산 등에 투자하는 펀드로 역내펀드와 역외펀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역내펀드(On-Shore Fund)는 국내법에 따라 설립되어 운용되며, 국내운용사가 외국 증시에 투자하는 국내 설정 펀드입니다. 따라서 적립식 투자의 경우 세금우대 지정이 가능하고 환헤지를 해둔 경우가 많아 투자자가 별도로 환헤지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역외펀드(Off-Shore Fund)는 외국법에 따라 설립되어 운용되며, 해외에서 설정된 펀드를 국내에서 파는 금융상품입니다. 외국운용사가 운용하는 펀드이기 때문에 환헤지가 되어있지 않아서 환헤지 여부를 투자자 본인이 결정해야 합니다. 

 

 


 

주식투자가 펀드투자에 비해 갖는 장점은?

펀드는 전문가가 대신 투자해주는 간접투자입니다. 그렇다면 많은 사람들이 직접투자인 주식투자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1. 높은 수익률

 

주식형 펀드의 경우, 목표 수익률은 주가지수 상승률만큼 수익을 내는 것입니다.

하지만 예를들어 주가지수가 10% 올라갈 때 개별 종목에서는 30% 이상 수익이 나는 종목이 있습니다. 

개인이 이런 종목을 잘 골라 직접 투자할 경우, 지수 상승률보다 훨씬 높은 수익률을 거둘 수 있습니다. 

 

2. 편리한 환금성

 

주식을 하는 개인투자자들은 분산투자나 하고 종목 변경을 원하는 대로 자유자재로 할 수 있습니다. 

펀드는 중도해약시 불이익이 있을 수도 있고 운용수수료도 높은 편이지만, 개인투자자들은 자유롭게 주식을 매도하여 현금화할 수 있습니다. 펀드는 매도하더라도 약 3 영업일 후에 실제 매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빠른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