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미국 주식] 기업 경제활동을 보여주는 지표 : ISM 구매관리자 지수, 내구재 주문

반응형

 

미국 주식에 투자할 때 참고하면 좋은 지표로, 고용에 관한 지표, 소비에 관한 지표, 기업에 관한 지표들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업의 경제활동을 보여주는 척도로 사용되는 주요 지표 두 가지 (ISM구매관리자지수, 내구재 주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SM 구매관리자 지수

 

 

ISM의 Manufacturing PMI (24년 12월 통계)

 

 

 

ISM은 미국의 Istitute for Supply Management(공급관리자 협회)의 약자입니다. 

 

  • 작성기관 : ISM에서 매달 발표합니다.
  • 작성방법 : 300곳 이상 제조 기업들을 선별하여, 각 기업의 구매 및 공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를 토대로 지수를 산출합니다.
  • 내용 : 5가지 주요 지표인 '신규지수', '생산', '고용', '공급자 운송', '재고'와 관련된 여러 항목에 대해 "개선", "불변", "악화"의 3가지 중 하나로 답하게 됩니다. 답변을 기준으로 PMI(purchasing managers' index)가 작성됩니다.
  • 해석 : 계산된 수치가 50이상이면 제조업 부문의 성장을 의미하고, 50 이하이면 수축을 의미합니다.
  • 특징 : 매달 초에 발표되는 지표이므로, 지난 4주 동안 경제가 어떤 진척을 보였는지에 대한 단서를 최초로 제공합니다. 따라서 시장의 흐름에 영향을 줍니다.
  • 또한, 설문조사를 작성한 구매관리자들은, 공급망의 최전선에 있기 때문에, 실물경제를 선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평가됩니다.
  • 만약 PMI가 50을 연속해서 밑돈다면, 제조업 시장의 전망이 어둡다는 것을 암시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시장에 부정적인 신호로 작용하게 됩니다.
  • 미국공급관리자 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미국공급관리자 협회

 

ISM Report On Business®

The ISM® Report On Business® – Manufacturing (PMI®) and Services (PMI™) – are two of the most reliable economic indicators available, providing guidance to supply management professionals, economists, analysts, and government and business

www.ismworld.org

 

 

 

내구재 주문 Durable Goods Orders

 

 

내구재( : 견딜 내, 오랠 구, 재화 재)란, 비교적 오랜 기간 동안 견딜 수 있는 물품으로, 초기에는 일시적으로 거액의 지출이 필요하지만 그 이후에는 소액의 유지비가 필요한 재화를 말합니다. 

자동차, 항공기, 장비, 기계류 등이 그 예입니다. 

 

 

 

  • 내용 : <내구재 주문>이란, 미국 기업들이 한 달 동안 이러한 내구재를 얼마나 많이 주문했는지에 대해 보여주는 데이터입니다. 
  • 작성 기관 : 미국 상무부 산하 통계국에서 매달 넷째 주에 전월 데이터를 집계합니다.
  • 특징 : 대부분의 경제지표들이 과거지표에 대해 발표하는 후행적인 성격임에 반해, 내구재 주문은 선행적으로 미래를 전망할 수 있는 지표이기 때문에 주의 깊게 봐야 합니다.
  • 기업들은 앞으로 경제 전망이 좋다고 판단할 때, 기계 설비와 같은 '내구재 주문'을 늘립니다. 따라서 내구재 주문이 늘었다는 것은 경제 전망이 좋다고 기업들이 내다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 내구재가 늘어나면 생산성이 높아지고, 고용을 창출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근로자들의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에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집니다. 
  • 미 상무부 통계국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상무부 통계국 홈페이지

 

Manufacturers’ Shipments, Inventories, and Orders

 

www.census.gov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