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계에서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계절이 순환하는 사이클이 있듯이, 경기에도 사이클이 있는 것으로 관측되어 왔습니다.
경기의 사이클은 회복기, 활황기, 후퇴기, 침체기로 되어 있으며, 순환주기(=사이클)는 길게는 4~5년, 짧게는 6개월~12개월 정도 됩니다.
최근에는 경기 순환주기가 점점 짧아지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러한 경기의 변화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면 주식투자를 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러면, 경기의 변화는 무엇을 보고 미리 예측할 수 있을까요?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는 지표들이 몇 가지 있는데, 그중에서 "경기 종합지수"와 "BSI(기업실사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경기종합지수(Composite Economic Indexes)란?
경기종합지수란, 국민경제의 경기(경기: 호황, 불황 등의 경제 상태) 동향을 쉽게 파악하기 위해 경제부문별(생산, 투자, 고용, 소비 등)로 주요 경제지표들을 정하고, 이 지표들이 지난달에 비해 어느 정도나 오르고 내렸는지를 참고로 하여 만든 지수입니다.
이러한 경기 종합지수에는 선행(leading)종합지수, 동행(coincident) 종합지수, 후행(lagging) 종합지수가 있습니다.
(1) 경기선행 종합지수
경기를 예측하는데 활용되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건설수주액, 재고순환지표, 경제심리지수, 기계류 내수출하지수, 수출입물가비율, 코스피지수, 장단기금리차, 구인구직비율, 소비자기대지수의 9가지 지표를 활용하여 만들어내는 지수입니다.
(2) 동행종합지수
현재의 경기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현재의 경기상황을 판단하는데 이용됩니다. 공급측면으로 광공업 생산지수, 비농림어업취업자수 등과, 수요측면의 내수출하지수 등과 같이 국민경제 전체의 경기순환과 거의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7개의 지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 후행종합지수
경기의 변동을 사후에 확인하데 이용되는 지표입니다. 생산자제품재고지수, 회사채유통 수익률, 도시가계소비지출, 소비재수입액, 상용근로자수의 5개의 지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4) 경기종합지수는 어디서 알아볼 수 있나?
e-나라지표 사이트 > 부처별 > 기획재정부 > 경기종합지수 에서 확인가능합니다.
>> 경기선행지수는 경기동행종합지수보다 약 3~10개월 앞서 움직입니다. 주가는 경기보다 대략 6개월 정도 먼저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주가는 경기선행종합지수와 비슷하게 움직이지만 한발 먼저 움직인다고 볼 수 있으므로, 경기선행종합지수를 살펴본다면 주식투자의 시기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2. BSI (Business Survey Index, 기업실사지수)란?
(1) 지수의 의미
기업실사지수란, 기업체가 느끼는 체감경기를 나타냅니다.
구체적으로는, 향후의 경제상황에 대해 긍정적으로 답한 기업수부정적으로 답한 기업수의 차를 구한 다음 이를 전체 응답 기업수로 나누어 계산하고, 그 결과값에 100을 더하여 구합니다.
따라서, 긍정적으로 대답한 기업수가 더 많으면 100보다 더 큰 값이 나오게 되고, 부정적으로 대답한 기업 수가 더 크면 음수에 100을 더하게 되니, 100보다 작은 값이 나오게 됩니다.
즉, BSI 값이 100을 기준으로 했을 때, 100보다 크면 경기를 낙관적으로 예측하는 기업이 더 많은 것이고, 100보다 작으면 경기를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입니다.
(2) BSI는 누가 작성하고 발표하나?
한국은행, 산업은행, 전국 경제인 연합회, 상공회의소,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등에서 정기적으로 BSI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다만 각 단체별로 조사하는 대상은 각각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은행은 매출액 20억 원 이상의 업체의 경영자들을 대상으로, 업종별, 기업규모별, 수출내수기업별 등으로 나눠 조사하고, 전경련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합니다.
(3) BSI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
포털 사이트에 "BSI지수"라고 입력하고 검색하면 월별로 지수가 나옵니다. 단 제조업에 국한되어 있습니다.
만약 좀 더 세분화하여(업종별 등) BSI 지수를 확인하고 싶다면 한국은행 홈페이지에 가서 통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한국은행 홈페이지 > 커뮤니케이션 > 보도자료 > 검색란에 BSI입력 > 원하는 세분화 항목 선택 > BSI 지수 확인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GDP 갭과 Yield Gap으로 시장의 흐름을 읽는 방법, 주식투자시 유의사항 (0) | 2024.03.25 |
---|---|
주가와 관련 있는 지표들 : GDP 성장률, 금리, 통화량, 환율 등 (0) | 2024.03.24 |
적립식펀드, 인덱스펀드, 뮤추얼펀드, 사모펀드 : 펀드의 종류(feat. ETF선택시 유의사항) (0) | 2024.03.19 |
ELS, ETF는 어떤 상품인가? (0) | 2024.03.19 |
펀드의 종류 (0) | 2024.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