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투자 : 기업의 가치를 계산하는 ROE, PER, EV/EBITA, PBR 계산공식
주식투자의 대가 워런버핏의 투자 방식이 "가치투자"라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입니다. 가치 투자란, 회사의 매출, 순이익, 자산, 배당 등이 양호한데도 시장에서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는 주식을 미리 찾아서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주식을 저평가주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기업의 가치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기업의 가치는 수익가치, 자산가치, 성장가치의 3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기업의 3가지 가치 1. 수익가치 기업의 가치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입니다. 기업의 설립 목적은 이윤추구에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까지 많은 이익을 내왔고, 앞으로도 많은 이익을 낼 수 있는 기업의 주식을 "가치주"라고 합니다. 가치주의 주가는 대체로 높으며 안정적입니다. 2. 자산가치 기업이 보유하고 있..
더보기
주가와 관련 있는 지표들 : GDP 성장률, 금리, 통화량, 환율 등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지표들 - GDP 정장률, 금리, 통화량, 환율,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기업실적, 경상수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GDP와 GDP 성장률 경제가 좋은지 나쁜지를 판단하는 지표중 하나로, GDP성장률이 있습니다. ▶ GDP성장률이 높으면 주가는 강세를 보이고 GDP성장률이 낮으면 주가는 약세를 보입니다. GDP성장률이란 작년 동기 혹은 전분기에 비해 GDP가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GDP란?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의 약자로서, 한 나라의 영토 안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시장가치의 합계를 말합니다. > 한나라의 영토 안에서 : 다른 나라에 있는 자국 국민이 생산한 것 제외> 최종 : ..
더보기
경기종합지수, BSI 지수 : 주가 예측에 도움을 주는 지표
자연계에서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계절이 순환하는 사이클이 있듯이, 경기에도 사이클이 있는 것으로 관측되어 왔습니다. 경기의 사이클은 회복기, 활황기, 후퇴기, 침체기로 되어 있으며, 순환주기(=사이클)는 길게는 4~5년, 짧게는 6개월~12개월 정도 됩니다. 최근에는 경기 순환주기가 점점 짧아지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러한 경기의 변화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면 주식투자를 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그러면, 경기의 변화는 무엇을 보고 미리 예측할 수 있을까요?예측하는데 도움이 되는 지표들이 몇 가지 있는데, 그중에서 "경기 종합지수"와 "BSI(기업실사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경기종합지수(Composite Economic Indexes)란? 경기종합지수란, 국민경제의 경기(..
더보기
적립식펀드, 인덱스펀드, 뮤추얼펀드, 사모펀드 : 펀드의 종류(feat. ETF선택시 유의사항)
펀드에는 운용방식에 따라서 적립식 펀드, 인덱스펀드, 뮤추얼펀드, 액티브펀드, 패시브펀드, 사모 펀드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1. 적립식 펀드 은행에서 적금에 가입하면 매월 정해진 금액을 입금하듯이, 적립식 펀드도 일정기간마다 일정금액을 불입하면 운용사가 주식, 채권 등에 투자를 하고, 그렇게 얻어진 수익을 나눠주는 펀드입니다. 불입하는 금액은 개인이 원하는 만큼 설정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돈을 납입할 수도 있습니다. 투자 대상에 따라 주식형 펀드와 채권형 펀드가 있는데, 주식형 펀드는 상승장에서 인기가 있습니다. 소액으로 투자가 가능하고, 전문가가 분산투자를 해주는 장점이 있지만 만기 때 투자대상의 주가가 떨어지면 수익률이 낮아질 수 있으며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2. 인덱스..
더보기